[독서感想文] 오륜서 를 읽고쓰기 ― 오륜서를 통해 되돌아 본 나의 삶과 다짐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4 16:17
본문
Download : [독서감상문] 오륜서 를 읽고 ― 오.hwp
오늘날 개인주의 및 자유주의가 만연한 현대사회에서는 개인이 스스로 무언가를 이루기 위해 노력하지 않으면 도태될 수밖에 없다. 이와 같이 검술에도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물이 바뀌는 원리 즉, 검술의 기본 원리는 하나이므로 이것을 깨달으면 하나의 도(道)를 얻으므로 마침내 전체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상황과 대상에 따라 어떤 目標(목표)를 이루는데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 『오륜서』에서는 주체적으로 도를 깨달을 것을 주장하지만, 이를 우리 삶 전체로 확대하면 사르트르의 주장과 맞물리게 된다된다. 이는 병법에 있어서의 근본이나 토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은 모든 만물의 근原因 땅(地), 물(水), 불(火), 바람(風), 하늘(空)로 나누어 說明(설명) 하고 있다. 사고를 확장하면 이는 우리 삶의 모든 것에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결코 그렇지 않다.”는 구절에서는 한 가지만을 고수하는 것을 지양해야함을 강조하고 있따 이는 우리의 삶에 적용하면, 다원주의 사회인 오늘날 오직 한 가지만으로는 그 어떤 분야에서도 성공할 수 없다.”와 같은 주장을 하면서, 개인의 주체적인 삶을 추구하였다. 사고를 확장하면 이는 우리 삶의 모든 것에 적용될 수 있다. 진정한 병법의 도를 터득한 사람은 어떠한 어려움도 거뜬히 헤쳐 나갈 수 있는 진정한 승자임을 기억하라.” 는 구절을 통해 알 수 있듯이, 병법의 도(道)는 전쟁이나 싸움에서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삶의 모든 곳에서 적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따 또한 검술만을 알아서는 전쟁이나 싸움에서 승리하기 어렵다고 하면서 스스로 도를 깨우칠 것을 강조하고 있따 스스로 도를 터득하기만 하면 모든 것을 헤아릴 수 있따 다시 말해 도를 깨우치는데 있어 개인의 주체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2장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병법 기술에 대해 다루고 있따 책 66쪽부터 67쪽의 “어떠한 자세를 취할지는 상대방과의 관계에 따라, 혹은 그때의 상황에 따라 조금이라도 더 상대방을 베기에 유리한 쪽으로 선택해야 한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병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지만 병법서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앞으로는 『오륜서』에서 말하는 바와 같이 행동을 취해야겠다.1장에서는 땅(地)의 성질을 통해 병법의 도에 대하여 說明(설명) 하고 있다
Download : [독서감상문] 오륜서 를 읽고 ― 오.hwp( 97 )
독서감상문,오륜서
다. 이는 병법에 있어서의 근본이나 토대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라고 생각한다.1장에서는 땅(地)의 성질을 통해 병법의 도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레포트 > 인문,어학계열
설명
1장에서는 땅(地)의 성질을 통해 병법의 도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있따 책 17쪽의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병법의 도를 수련하더라도 그것은 일상생활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 책은 총 5장으로 구성 되어있으며 병법에 대해 說明(설명) 하고 있지만 병법서에만 국한되지는 않는다. 2장에서는 물(水)의 고정되지 않는 성질을 통해 검술의 도리를 몸으로 터득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explanation)하고 있따 물의 고정되지 않는 성질을 이해하여 전체를 이해하라는 것 인데, 검술의 도리를 몸으로 터득해서 한 적에 이길 수 있게 되면, 세상 의 모든 사람에게 이길 수 있게 된다는 의미이다. 물은 담기는 통에 따라 그 형태가 달라진다. 이 책은 모든 만물의 근원인 땅(地), 물(水), 불(火), 바람(風), 하늘(空)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이는 주체성을 강조한 현대 실존주의 철학자 사르트르와 관련지을 수 있따 사르트르 역시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오륜서』는 세계 3대 병법서 중의 하나이다. 사실 나는 과감하거나 대범하지 못하기 때문에, 새로운 것을 싫어하며 늘 해오던 방식을 고수하려는 경향이 있따 그리고 때로는 융통성 없는 행동을 하기도 한다. 나는 두 주장 모두에 강력히 동의한다. 이 구절을 통해 나는 나의 삶을 되돌아보는 성찰해 볼 수 있었다. 프랑스 철학자 미셸 푸코(Michel Paul Foucault)에 따르면, 개인주의가 점차 확대되면서 한 개인은 보다 나은 자신을 위해 끊임없이 계획하고 노력하는 ‘기업가적 자아(enterprising self)’의 형태를 띠기 때문이다
순서
[독서感想文] 오륜서 를 읽고쓰기 ― 오륜서를 통해 되돌아 본 나의 삶과 다짐
![[독서감상문] 오륜서 를 읽고 ― 오-7711_01.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C%84%9C%EA%B0%90%EC%83%81%EB%AC%B8%5D%20%EC%98%A4%EB%A5%9C%EC%84%9C%20%EB%A5%BC%20%EC%9D%BD%EA%B3%A0%20%E2%80%95%20%EC%98%A4-7711_01.jpg)
![[독서감상문] 오륜서 를 읽고 ― 오-7711_02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C%84%9C%EA%B0%90%EC%83%81%EB%AC%B8%5D%20%EC%98%A4%EB%A5%9C%EC%84%9C%20%EB%A5%BC%20%EC%9D%BD%EA%B3%A0%20%E2%80%95%20%EC%98%A4-7711_02_.jpg)
![[독서감상문] 오륜서 를 읽고 ― 오-7711_03_.jpg](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503/%5B%EB%8F%85%EC%84%9C%EA%B0%90%EC%83%81%EB%AC%B8%5D%20%EC%98%A4%EB%A5%9C%EC%84%9C%20%EB%A5%BC%20%EC%9D%BD%EA%B3%A0%20%E2%80%95%20%EC%98%A4-7711_03_.jpg)


『오륜서』는 세계 3대 병법서 중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