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페이지 정보
작성일 22-11-08 08:31
본문
Download : 시_2019245.hwp
이것은 시대적이며 歷史(역사)적인 선언인 동시에 현대시사의 차원에서는 간접적으…(skip)






다. 알려진 대로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건국 이후의 중국(China)은 노동자와 전사인 `영웅`이 횡행하는 시대였다.
레포트/인문사회
정말
시에 대한 글입니다. 공산당은 철저한 프롤레타리아트 계급의식으로 무장한 `영웅`을 전형화하고 이에 맞는 인물들을 모범적 영웅으로 찬미함으로써 대중의 의식개조에 활용하였다.정말 , 시인문사회레포트 ,
(2)선고 - 위루어커 열사에게
최후의 시각이 와도
유언은 남기지 않겠다
오직 어머님께 말씀 전하련다
저는 결코 영웅이 아니에요.
영웅 없는 시대에
그저 한 인간이 되고 싶었어요
고요한 지평선
산 자와 죽은 자의 줄을 가른다
난 하늘을 택할 수 있을 뿐
결코 땅에 꿇어앉아
자유의 바람을 막으려는
사형집행인을 커 보이게 하지 않겠다
별 모양의 총알구멍에서
핏빛의 여명이 흘러나오리
[선고 - 헌급우라극]
야허최후적시각도료
아몰유류하유촉
지류하필, 급아적모친
아 부시영웅
재몰유영웅적년대리,
아지상주일개인.
녕정적지평선
분개료생자화사자적행렬
아지능선택천공
결부 재지상
이현출 자수문적고대
호조 자유적풍
종성성적탄공리
장류출혈홍적려명
한 열사의 죽음에 대한 비장한 회고이면서 강렬한 이미지로 그의 미래지향적 신념을 형상화시킨 수작이다. `별 모양의 총알구멍에서 / 핏빛의 여명이 흘러나오리`라는 시적 화자의 선언도 의미심장하지만, `영웅 없는 시대에 / 그저 한 인간이 되고 싶었어요`라는 시구는 歷史(역사)의 아이러니를 느끼게 한다. 하지만 시인은 이제 `영웅`을 거절하고 `한 인간`이 되는 것이 `진정한 영웅`이 되는 길임을 천명하였다. 하지만 시인에게 그 시대는 `영웅 없는 시대`, 게다가 `한 인간으로 살아갈 수 없었던` 시대로 인식된다 즉 모든 개인들이 고유의 이성과 감성을 포기하고 `계급`의 그것으로 자리를 채워야 했으며 철저히 집단의 한 원자로만 생활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위루어커는 1970년 `반혁명분자`의 죄목을 뒤집어쓰고 처형당한 그의 친우이자 민주청년이었다.
Download : 시_2019245.hwp( 37 )
설명
시
순서
,인문사회,레포트
시에 대한 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