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아연구 및 평가 B형>유아교육분야에서 실시할 수 있는 평가의 방법(관찰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 논의하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1-23 16:56
본문
Download : [유아연구] 관찰중심의 연구[2].hwp
특히 나이가 어릴수록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어린 영유아는 observation자의 존재를 개의치 않고 자연스러운 행동을 보인다는 점과 언어능력의 부족으로 다른 검사나 면접법을 통해서 data(資料)를 수집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2. 황해익 저(2000). 『유아교육평가』. 서울 : 양서원
2) 일화기록법
3) 기록단계
4) 분석 및 정보 요약
5. 박도순 지음(2002).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1. 유아평가법중 하나인 observation법의 정의와 observation법
7. observation중심의 연구 사례
-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연구 및 평가 B형 참고자료입니다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홍순정․백순근 공저(2003). 『유아연구 및 평가』.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2. 황해익 저(2000). 『유아교육평가』. 서울 : 양서원 3. 김희진․박은혜․이지현 저(2001).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관찰』. 서울 :창지사 4. 전국보육교사교육원대학협의회(1999). 『영유아 관찰 및 평가』. 서울 : 양서원 5. 박도순 지음(2002). 『교육연구방법론』. 문음사
- 많은 도움 되시기 바랍니다 [참고자료] 1. 홍순정․백순근 공저(2003). 『유아연구 및 평가』. 서울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3) observation수행
2) observation기록지 제작
설명
1) 연구목적, observation대상, observation자의 설정
3. 김희진․박은혜․이지현 저(2001). 『유아 교육 기관에서의 관찰』. 서울 :창지사
3) 시간표집법
[] <유아연구 및 평가 B형>유아교육분야에서 실시할 수 있는 평가의 방법(관찰법)은 어떤 것이 있는지 논의하시오.
![[유아연구] 관찰중심의 연구[2]-6612_01.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C%9C%A0%EC%95%84%EC%97%B0%EA%B5%AC%5D%20%EA%B4%80%EC%B0%B0%EC%A4%91%EC%8B%AC%EC%9D%98%20%EC%97%B0%EA%B5%AC%5B2%5D-6612_01.gif)
![[유아연구] 관찰중심의 연구[2]-6612_02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C%9C%A0%EC%95%84%EC%97%B0%EA%B5%AC%5D%20%EA%B4%80%EC%B0%B0%EC%A4%91%EC%8B%AC%EC%9D%98%20%EC%97%B0%EA%B5%AC%5B2%5D-6612_02_.gif)
![[유아연구] 관찰중심의 연구[2]-6612_03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C%9C%A0%EC%95%84%EC%97%B0%EA%B5%AC%5D%20%EA%B4%80%EC%B0%B0%EC%A4%91%EC%8B%AC%EC%9D%98%20%EC%97%B0%EA%B5%AC%5B2%5D-6612_03_.gif)
![[유아연구] 관찰중심의 연구[2]-6612_04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C%9C%A0%EC%95%84%EC%97%B0%EA%B5%AC%5D%20%EA%B4%80%EC%B0%B0%EC%A4%91%EC%8B%AC%EC%9D%98%20%EC%97%B0%EA%B5%AC%5B2%5D-6612_04_.gif)
![[유아연구] 관찰중심의 연구[2]-6612_05_.gif](https://sales.happyreport.co.kr/prev/201004/%5B%EC%9C%A0%EC%95%84%EC%97%B0%EA%B5%AC%5D%20%EA%B4%80%EC%B0%B0%EC%A4%91%EC%8B%AC%EC%9D%98%20%EC%97%B0%EA%B5%AC%5B2%5D-6612_05_.gif)
2) 실시단계
4) 사건표집법
5) 평가단계
1) 표본기록법
따라서 observation은 우발적인 observation이 아니라 사전에 면밀히 계획된 observation이어야 하며, 주기적이고 체계적인 observation을 통하여 observation결과를 누가적으로 기록하여 장기적이고 종단적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observation의 효과(效果)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2. observation의 절차
4) 추론단계
4. 전국보육교사교육원대학협의회(1999). 『영유아 관찰 및 평가』. 서울 : 양서원
Download : [유아연구] 관찰중심의 연구[2].hwp( 18 )
observation법은 영유아의 행동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영유아가 보여주는 자연스러운 여러 가지 상황이나 활동을 과학적인 방법으로 자세히 observation하고 분석-기록함으로써 유아의 인지적, 사회-정서적, 신체적 발달 및 행동에 대한 평가data(資料)를 얻을 수 있다. observation은 대체로 도구를 사용하지 않는 측정(measurement)방법이며, 만약 도구를 사용해도 그것은 측정(measurement)하는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지 측정(measurement)받는 대상에게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측정(measurement)이므로 observation자의 훈련과 기술에 의존하는 바가 매우 크다.
- 유아교육과 4학년 유아연구 및 평가 B형 참고자료입니다
레포트 >
3. observation 중심의 연구에서 교사가 유의할 점
6. observation 중심 연구시 observation자의 유의점
5. observation 중심 연구의 advantage과 단점
4. observation 중심 연구의 종류
- 다양한 자료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유아평가법중 하나인 observation법의 정의와 observation법
순서
유아연구및평가, 관찰법, 평가의방법, 유아평가의방법, 유아교육분야
1) 계획단계
또 observation은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평가방법 중에서 가장 오랜 history(역사) 를 가진 방법의 하나로써 유아의 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나 효과(效果)적인 교사 역할에서 필수적인 방법이다.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