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 고찰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6 00:48
본문
Download : 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hwp
설명
Ⅵ. 맺는 말 이로움은 우리의 선택에 중요한 influence(영향)을 끼치는 영역으로서 결코 소홀히 할 수 없는 분야이다.
Ⅳ. 청대 실학파의 의리지변
Ⅰ. 머리말
레포트 > 기타
의 이 성리학
순서
Ⅲ. 송대 성리학과 사공파와의 논쟁
대종사 그 의만 바루고 그 이를 도모하지 아니하며 그 도만 밝히고 그 공을 계교하지 아니한다(정기의이불모기리 명기도이불계기공)라 한 동중서의 글을 보시고 칭찬하신 후 그 글에 한 귀씩 더 붙히시기를 그 의만 바루고 그 이를 도모하지 아니하면 큰 이가 돌아오고 그 도만 밝히고 그 공을 계교하지 아니하면 큰 공이 돌아오나니라(정기의이불모기리 대리생언 명기도이불계기공 대공생언) 하시니라.
의 이 성리학 / (성리학)
Ⅴ. 의와 이에 관한 소태산의 시각
Download : 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hwp( 50 )
의 이 성리학 / (성리학)





위의 내용에서 인용된 동중서의 말의 본의는 무엇이며 소태산은 어떤 입장에서 利를 받아들였는가? 동중서의 말은 간략하지만 매우 함축적이어서 중국(China)사상사에서 많은 논란을 불러 일으켰다. 이로움이란 경제적 가치를 위주로 한 표현이지만 명예, 권리 등에서부터 삶의 편리를 도모하는 것에 관련 깊은 여러 가지를 생각할 수 있다아 의와 이로움, 이 두 가지가 일치할 때는 상관없으나 충돌할 때는 정신적 갈등을 느끼게 되며 과감한 결단이 요청된다 이에 관련하여 『대종경』, 인도품 7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한 다. 이에 이 글에서는 먼저 동중서가 의리정신을 제창한 기본입장을 살펴본 다음 동중서의 언급에 관해 중국(China)사상사에서 논의되었던 내용을 간략히 개괄하기로 한다. 그러한 기초 위에서 의와 이에 관한 소태산의 본의를 추적해보는 것이 이 글이 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아
의와 이의 관계에 관한 고찰
Ⅱ. 동중서(董仲舒)에서의 의와 이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