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 고찰 / 노걸대 · 박통사 에 보이는 “的
페이지 정보
작성일 23-02-09 07:01
본문
Download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 고찰.hwp
“的”와 “着”의 용법 고찰





다. 노박 에서 “的”는 주로 구조조사, 동태조사, 어기사 등의 용법으로 사용되었다. “底”, “地”는 노걸대 에서는 보이지 않고 “地”는 박통사 에서 1번 출현한다. 현대中國어에서도 “的”와 “着”는 출현빈도가 매우 높은데1) 이러한 “的”와 “着”의 어법기능과 의미를 노박 2)에서 살펴봄으로써 그 발전變化(변화)의 흔적을 찾아보고자 한다. 여기서는 노박 에서 나타난 “的”와 “着”의 모든 용례를 조사한 것을 근거로 하여 이들의 근대 中國어에서의 발전양상과 현대中國어에로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노걸대 · 박통사 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 고찰 1. 이끄...
2.1 구조조사로 사용된 경우
3. 着의 용법
4. 맺는 말
노걸대 · 박통사 에 보이는
레포트 > 사회과학계열
Download :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 고찰.hwp( 38 )
노걸대 · 박통사 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 고찰 1. 이끄...
순서
2. “的”의 용법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 고찰 / 노걸대 · 박통사 에 보이는 “的
〈 目 次 〉
설명
노걸대 박통사에 보이는 的와 着의 용법 고찰 / 노걸대 · 박통사 에 보이는 “的
“的”는 宋 이전의 “底”, “地” 등이 變化(변화)한 것으로 元代 이후에는 대부분 “的”를 사용하였다.
1. 이끄는 말
2. 的의 용법
1. 이끄는 말
“的”가 구조조사로 쓰일 때 현대中國...
노걸대 · 박통사 (이하 노박 )는 조선인이 中國어를 공부하던 회화서로서, 대체로 元末 明初의 언어를 반영하고 있다는 것이 정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 시기의 언어는 근대中國어 시기에서 보자면 이전 시기의 것을 이어받아 그것을 이후로 전하는, 新舊가 교체하는 시기로서 다양하고 풍부한 여러 가지 어법특징을 드러내고 있다 이 시기에 “的”와 “着”는 노박 이외에도 구어성격을 띤 여러 문헌에서 자주 사용되었는데 다양한 통사적 성격과 의미를 지니고 있어, 다소 복잡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상황은 노박 에서도 역시 마찬가지인데, “的”와 “着”는 노박 에서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두 단어로, 자주 출현하는 만큼 여러 가지 통사적 성격을 가지고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었다. “的”는 노걸대 에서 모두 435번, 박통사 에서는 모두 677번 출현하여 노박 에서 모두 출현빈도수에서 1위를 차지한다.